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

FEMid, PAMid, LPAMid 1) FEMid 풀네임은 "Front End Module including Duplexers"입니다. 보통 수신/송신의 구별을 위한 듀플렉서(혹은 필터일 수 있음)에 스위치가 포함된 개념. 여기서 스위치는 안테나들과 연결을 위한 스위치를 의미한다. 2) PAMid PA(power amplifier) + FEMid를 지칭한다. BB 쪽으로는 Mode/Transceiver와 연결되며, RF 쪽으로는 안테나와 연결된다. PAMid 부터 안테나 직전까지를 RFFEM(RF FEM)으로 볼 수 있다. 3) LPAMid PAMid + LNA(low noise amplifier)이며,LNA는 수신 경로를 포함하는 개념이라서 BB 쪽으로는 Mode/Transceiver와 연결되며, RF 쪽으로는 안테나와 연결된다. 흔히.. 2022. 4. 11.
스위치(SPST, SPDT, DPST, DPDT) P는 Pole을 나타내고, 내부 스위치 개수를 의미합니다. T는 Through를 나타내고, 접점을 의미합니다. 즉,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예시될 수 있습니다. 1) SPST = 접점 한개, 스위치 한개(S= single) 2) xPyT = 접점 x개, 스위치 y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SPST : Single Pole Single Through SPDT : Single Pole Double Through DPST : Double Pole Single Through DPDT : Double Pole Double Through 2022. 4. 8.
HB(high-band), MB(mid-band), LB(low-band) 개념 미국 상무부의 스펙트럼 관리 자문위원회(Commerce Spectrum Management Advisory Committee: CSMAC),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는 300MHz에서 300GHz까지의 전체 주파수 범위 내에서 1GHz 이하는 “Low-band”, 1~6GHz 대역은 “Mid-band”, 6GHz 이상은 “High-band”로 분류한 바 있다. [그림 1]은 “Low-band”, “Mid-band”, “High-band”에 대한 주파수 대역 분류 기준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서비스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5.. 2022. 4. 8.
TEM, TE, TM 모드 1. 전파모드 어떤 구조물에서 특정 주파수의 에너지가 집충되는 형태를 의미함. 전송 모드는 전자기파가 진행하는 방향이, 전기장(E) 필드의 수직 여부 및 자기장(H) 필드의 수직 여부에 따라 결정됨. TEM, TE, TM 모드가 존재함. (1) TEM(transverse electro magnetric) 전자기파 진행 방향과 E 필드(전기장), H 필드(자기장) 모두 수직 (2) TE(transverse electric) 전자기파 진행 방향과 E 필드(전기장)만 수직 (3) TM(transverse magnetic) 전자기파 진행 방향과 H 필드(자기장)만 수직 2. 도파관과 전파모드 (1) 도파관이란 1) 도파관(waveguide)이란 전송 선로의 종류로써 다른 전송 선로와 달리, 한 개의 금속(도체).. 2022. 3. 29.
[NR]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1. SSB 전송의 목적 NR에서는 동기화 신호(PSS, SSS) 및 PBCH를 합쳐, SS 블록(SS block, SSB)이라고 지칭한다. RAN 2에서는 SSB라고 보통 지칭하지만, RAN 1 규격에서는 SS/PBCH block으로 지칭하기도 하며 동일한 의미이다. 다시 말해, SS block, SSB, SS/PBCH block 모두 동일한 의미이다. SSB는 보통 1) 액세스(access)를 위해 기지국(셀)에서 전송되거나(즉, 접속 용도) 2) 셀의 품질 측정(L3 measurement)을 위해 전송될 수 있다. 1) 액세스 - UE는 수신된 SSB에 기초하여 시간 동기/주파수 동기를 찾고, PBCH 디코딩을 통해 MIB를 얻고, 해당 셀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2) 품질 측정 - UE는 수신.. 2022. 2. 24.
[NR] Minimum System Information Minimum SI - TS 38.300 (1)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는 MIB와 SIB들을 포함한다. (2) 시스템 정보는 Minimum SI와 Other SI로 구분될 수 있다. Minimum SI는 MIB와 SIB를 포함한다. 1) MIB는 셀 금지 상태 정보와 추가 시스템 정보(예: CORESET #0 configuration)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셀의 필수(essential) 물리 계층 정보를 포함합니다. MIB는 BCH/PBCH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된다. 2) SIB1은 다른 시스템 정보 블록(SIB)들의 스케줄링, 초기 액세스 정보를 정의한다. SIB1은 RMSI(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로 지칭된다. SIB1은 ①.. 2022. 2. 23.
[NR] 초기 접속(initial access) *개요: 3GPP는 대개 LTE 기지국은 eNB, NR 기지국은 gNB로 지칭하며, 통칭하여 NG-RAN 노드로 명명한다. 이하는 gNB의 접속 절차를 의미하여, eNB는 (1)단계의 SS/PBCH block 대신 PSS/SSS와 PBCH가 독립적이다. (1) 1단계: UE는 SS block을 수신한다 1) SS 블록은 SS/PBCH block[동기 신호(synchornization signal, SS)+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이다. 2) SS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와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의미한다. 3) PSS, SSS는 각각 셀 그룹 내 ID, 셀 그룹 ID를 가리킨다. 4.. 2022. 2. 20.
[NR] 채널 코딩 1. 서론 채널 코딩은 데이터가 전송될 때, 오류 검출(error detection) 및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을 위해 신호를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소스 코딩은 전송 데이터를 압축하여 줄이기 위한 목적인 반면, 채널 코딩은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안을 의미한다. 3GPP의 채널 코딩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서 수행된다. 채널 코딩 이후의 결과물은 대개 codeword로 지칭된다. This section mainly refers to the channel coding standard in 3GPP. 2. Channel Coding in 3GPP 3GPP에서의 채널 코딩은 각각 LTE, NR 마다 방법이 다르다. 물리 계층에서 채널 코딩/rate mat.. 2022. 2. 19.
[NR] Numerology와 Frequency Range (FR) 4.2 Numerologies - TS 38.211 NR에서는 다양한 numerology들을 지원한다. Numerology란 OFDM 심볼을 구성하는 SCS(subcarrier spacing)과 심볼 길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라고 이해될 수 있다. 보통 Numerology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μ 는 SCS의 스케일링 팩터로 이해될 수 있으며, BWP마다 정의된다(TS 38.331의 BWP IE는 ①locationandbandwidth ②subcarrierSpacing ③cyclicPrefix를 포함함). Multiple OFDM numerologies are supported as given by Table 4.2-1 where μ and the cyclic prefix for a bandwidth.. 2022. 2. 16.
[NR] 채널(channel) (1) Logical Channels (between RLC & MAC) MAC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 각 논리 채널 유형은 전송되는 정보 유형에 따라 정의됩니다. 논리 채널은 제어 채널(CCH)과 트래픽 채널(TCH)의 두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Different kinds of data transfer services as offered by MAC. Each logical channel type is defined by what type of information is transferred. Logical channel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ntrol Channels and Traffic Channels. (2) Transport Ch.. 2022. 2. 15.
[NR] 프로토콜 스택 1. 계층 구조 기지국-단말 사이를 RAN(radio acceess network) 혹은 AN(access network)라고 한다. 3GPP는 LTE, NR의 RAN에 대한 계층을 하기와 같이, 사용자 평면, 제어 평면으로 구별한다. 각 계층에 표기된 숫자 TS 번호는 TS(technical specification)로 규격 문서를 의미한다. - NAS: Non-Access Stratum: UE와 코어망(core network, CN)(예: AMF)의 시그널링 - RRC: Radio Resoure Control: 다양한 IE(information element)들 제공 - 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QoS Flow 제어 - PDCP: Packet Data C.. 2022. 2. 12.
Vodafone 영국의 다국적 통신회사이자 세계 최대의 다국적 통신회사이다.[1] 다국적 통신회사가 진출하지 않은 한국에서는 낯선 이름의 기업이기에 포브스나 포춘 같은 유명 경제지에서 선정한 기업 순위 10위 내에 들 때마다 무슨 기업인지 묻는 경우가 많다.[2] 다국적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오대양 육대주 중 진출하지 않은 대륙이 없다. 100% 자회사로 가진 곳만 따져도 알바니아, 호주, 체코, 이집트, 독일, 가나, 그리스, 헝가리, 인도, 아일랜드, 이탈리아, 몰타, 네덜란드, 뉴질랜드, 포르투갈, 카타르, 루마니아, 스페인, 터키 등이다. 그래서 유럽에서 보다폰 선불 회선을 하나 개통한 다음에 국경을 넘어도 계속 통신사는 보다폰으로 뜨기도 한다. 유로스타 타고 영국에 들어가도 여전히 보다폰이 뜰 땐 충격과 공포. .. 2022. 2. 9.
KDDI KDDI(일본어: ケイディーディーアイ 케이디디아이[*])는 일본의 제2위의 민간 통신 회사이다. 일본의 휴대 전화 브랜드인 au를 운영 중에 있다. KDDI는 NTT(일본전신전화)의 최대의 라이벌이자, 일본 제2위의 후발 통신 업체이다. 2005년 6월까지 2천만 명이 넘는 고객을 확보했고, 약 18만 명이 3G CDMA2000의 수신 고객이 되었다. 일본전신전화(NTT)의 독점 시장에 대항하여 세워진 KDDI는 20%의 시장을 점유한 일본 2위의 휴대전화기 사업자로 성장했다. 2013년에 들어와서는 약 3800만 명이 넘는 많은 가입자를 유치하고 있다. 2022. 2. 9.
[NR] Waveform(파형) WAVEFORM(파형) 1)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파형이 달라진다. 보통 'Waveform'이란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2) 3GPP 시스템에서 LTE나 NR은 OFDMA를 이용하기 떼문에, OFDM 기반의 waveform을 갖는다. 3) Waveform은 ①CP-OFDM(일반 OFDM)이나 ②DFT-S OFDM(DFT-spreading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OFDM) 중 하나이다. [TS 38.300] The downlink transmission waveform is conventional OFDM using a cyclic prefix. The uplink transmission waveform is conventional OFDM using a cyclic prefix with .. 2022. 2. 5.
[NR] 자원 구조(주파수) 3GPP NR(new radio)에서 정의되는 주파수 자원은 다음과 같다. (3GPP의 다른 시스템(예: LTE)나 IEEE 802.11의 WiFi, BLE, IoT 등과는 동일한 용어라도 나타내는 바가 상이할 수 있다). (1) Resource Element (RE) - Each element in the resource grid for antenna port p and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μ is called a resource element and is uniquely identified by (k, l)p,u where 'k' is the index in the frequency domain and 'l' refers to the symbol position.. 2022. 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