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DM Numerology>
4.2 Numerologies - TS 38.211
NR에서는 다양한 numerology들을 지원한다. Numerology란 OFDM 심볼을 구성하는 SCS(subcarrier spacing)과 심볼 길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라고 이해될 수 있다. 보통 Numerology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μ 는 SCS의 스케일링 팩터로 이해될 수 있으며, BWP마다 정의된다(TS 38.331의 BWP IE는 ①locationandbandwidth ②subcarrierSpacing ③cyclicPrefix를 포함함).
Multiple OFDM numerologies are supported as given by Table 4.2-1 where μ and the cyclic prefix for a bandwidth part are obtained from the higher-layer parameter subcarrierSpacing and cyclicPrefix, respectively.
Δf Subcarrier spacing
Nslotsubframe,μ Number of OFDM symbols per subframe for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μ;
Nslotframe,μ Number of slots per frame for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μ;
Nsymbslot Number of symbols per slot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가능한 numerology들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Frequency Range마다 지원하는 Numerology가 다르다. 또한, 전송하는 신호가 SS/PBCH block인지 그 외 전송인지에 따라서도 지원 가능한 numerology가 다르다. 현재 규격에 정의된 Numerology와 FR 관계는 하기와 같다.
1)Frequency Range 1 – 15kHz, 30kHz available
2)Frequency Rage 2
[1] SS/PBCH block 120kHz, 240kHz available
[2] Otherwise (e..g, PDSCH, PUSCH, PDCCH, PUCCH), 60kHz, 120kHz available (240kHz x)
'통신, 표준 > 3GPP 5G NR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R] 초기 접속(initial access) (0) | 2022.02.20 |
---|---|
[NR] 채널 코딩 (0) | 2022.02.19 |
[NR] 채널(channel) (0) | 2022.02.15 |
[NR] 프로토콜 스택 (0) | 2022.02.12 |
[NR] Waveform(파형) (0) | 2022.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