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신, 표준/RF(radio frequency)4 FEMid, PAMid, LPAMid 1) FEMid 풀네임은 "Front End Module including Duplexers"입니다. 보통 수신/송신의 구별을 위한 듀플렉서(혹은 필터일 수 있음)에 스위치가 포함된 개념. 여기서 스위치는 안테나들과 연결을 위한 스위치를 의미한다. 2) PAMid PA(power amplifier) + FEMid를 지칭한다. BB 쪽으로는 Mode/Transceiver와 연결되며, RF 쪽으로는 안테나와 연결된다. PAMid 부터 안테나 직전까지를 RFFEM(RF FEM)으로 볼 수 있다. 3) LPAMid PAMid + LNA(low noise amplifier)이며,LNA는 수신 경로를 포함하는 개념이라서 BB 쪽으로는 Mode/Transceiver와 연결되며, RF 쪽으로는 안테나와 연결된다. 흔히.. 2022. 4. 11. 스위치(SPST, SPDT, DPST, DPDT) P는 Pole을 나타내고, 내부 스위치 개수를 의미합니다. T는 Through를 나타내고, 접점을 의미합니다. 즉,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예시될 수 있습니다. 1) SPST = 접점 한개, 스위치 한개(S= single) 2) xPyT = 접점 x개, 스위치 y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SPST : Single Pole Single Through SPDT : Single Pole Double Through DPST : Double Pole Single Through DPDT : Double Pole Double Through 2022. 4. 8. HB(high-band), MB(mid-band), LB(low-band) 개념 미국 상무부의 스펙트럼 관리 자문위원회(Commerce Spectrum Management Advisory Committee: CSMAC),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는 300MHz에서 300GHz까지의 전체 주파수 범위 내에서 1GHz 이하는 “Low-band”, 1~6GHz 대역은 “Mid-band”, 6GHz 이상은 “High-band”로 분류한 바 있다. [그림 1]은 “Low-band”, “Mid-band”, “High-band”에 대한 주파수 대역 분류 기준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서비스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5.. 2022. 4. 8. TEM, TE, TM 모드 1. 전파모드 어떤 구조물에서 특정 주파수의 에너지가 집충되는 형태를 의미함. 전송 모드는 전자기파가 진행하는 방향이, 전기장(E) 필드의 수직 여부 및 자기장(H) 필드의 수직 여부에 따라 결정됨. TEM, TE, TM 모드가 존재함. (1) TEM(transverse electro magnetric) 전자기파 진행 방향과 E 필드(전기장), H 필드(자기장) 모두 수직 (2) TE(transverse electric) 전자기파 진행 방향과 E 필드(전기장)만 수직 (3) TM(transverse magnetic) 전자기파 진행 방향과 H 필드(자기장)만 수직 2. 도파관과 전파모드 (1) 도파관이란 1) 도파관(waveguide)이란 전송 선로의 종류로써 다른 전송 선로와 달리, 한 개의 금속(도체).. 2022. 3.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