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VEFORM(파형)
1)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파형이 달라진다. 보통 'Waveform'이란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2) 3GPP 시스템에서 LTE나 NR은 OFDMA를 이용하기 떼문에, OFDM 기반의 waveform을 갖는다.
3) Waveform은 ①CP-OFDM(일반 OFDM)이나 ②DFT-S OFDM(DFT-spreading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OFDM) 중 하나이다.
[TS 38.300]
The downlink transmission waveform is conventional OFDM using a cyclic prefix. The uplink transmission waveform is conventional OFDM using a cyclic prefix with a transform precoding function performing DFT spreading (= Transform Precoding) that can be disabled or enabled.
(1) LTE
1)Downlink: CP-OFDM ‘OFDMA(orth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2)Uplink: DFT-s OFDM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ransform Precoding is used
(2) NR
1)Downlink: CP-OFDM
2)Uplink: DFT-s OFDM or CP-OFDM
▶Transform Precoding is used
(3) WHY DFT-S OFDM IS USED
UE(user equipment) has reduced capability related to power. In case of CP-OFDM, UE may experience power problem like high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To reduce PAPR, DFT-S OFDM is used for uplink transmission.
1) OFDM은 부반송파 들간의 전력 중첩으로 인해, 피크 전력, 즉,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가 높아질 수 있다. 높은 PAPR은 배터리 한계가 있는 단말 성능에 유리하지 않다. 이를 위해, 부반송파들을 하나의 캐리어로 취급하여 전송하기 위한, DFT-spreading(혹은 Transform Precoding)이 이용된다.
2)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의 경우, 전력 한계가 없어, CP-OFDM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말은 제한된 기기 내에서 동작을 요구하는 바, PAPR을 줄일 것이 요구된다. PAPR을 줄이기 위해, DFT-spreading을 추가적으로 요구되었다. LTE 상향링크는 DFT-s OFDM이 적용된다.
3) 한편, NR 상향링크에서는 전계의 상황이나 단말의 성능에 따라 적응적으로 waveform을 운용하도록, 위해, DFT-s OFDM, CP-OFDM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정해졌다. NR 하향링크는 LTE와 동일하게 CP-OFDM이 이용된다.
'통신, 표준 > 3GPP 5G NR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R] Numerology와 Frequency Range (FR) (0) | 2022.02.16 |
---|---|
[NR] 채널(channel) (0) | 2022.02.15 |
[NR] 프로토콜 스택 (0) | 2022.02.12 |
[NR] 자원 구조(주파수) (0) | 2022.02.04 |
[NR] 자원 구조(시간) (0) | 2022.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