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신, 표준/3GPP 5G NR Basic

[NR] 채널 코딩

by 오토팻 2022. 2. 19.
반응형

1. 서론
 채널 코딩은 데이터가 전송될 때, 오류 검출(error detection) 및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을 위해 신호를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소스 코딩은 전송 데이터를 압축하여 줄이기 위한 목적인 반면, 채널 코딩은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안을 의미한다. 3GPP의 채널 코딩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서 수행된다. 채널 코딩 이후의 결과물은 대개 codeword로 지칭된다.

This section mainly refers to the channel coding standard in 3GPP.


2. Channel Coding in 3GPP

 3GPP에서의 채널 코딩은 각각 LTE, NR 마다 방법이 다르다.

 물리 계층에서 채널 코딩/rate matching까지의 절차는 LTE, NR 각각 TS 36.212, TS 38.212에 규정되어 있다.

 물리 계층에서 채널 코딩/rate matching 이후의 절차(즉, codeword)는 LTE, NR 각각 TS 36.211, TS 38.211에 규정되어 있다.

 

(1) LTE: 3GPP TS 36.212

 1) Tail Bit Convolution Coding (TBCC) - control payload like PUCCH, PDCCH

 2) Block Coding - special case for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3) Turbo Coding - data payload like PDSCH, PUSCH

 

(2) NR: 3GPP TS 38.212

 1) Polar Coding - control payload like PUCCH, PDCCH
 2) Block Coding - special case for UCI

 3) 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Coding - data payload like PDSCH, PUSCH

 

각 채널 별에 대한 설명은 ▶https://autopatent.tistory.com/66

반응형

'통신, 표준 > 3GPP 5G NR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R] Minimum System Information  (0) 2022.02.23
[NR] 초기 접속(initial access)  (0) 2022.02.20
[NR] Numerology와 Frequency Range (FR)  (0) 2022.02.16
[NR] 채널(channel)  (0) 2022.02.15
[NR] 프로토콜 스택  (0) 2022.02.12

댓글